조선대학교병원장례식장은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65 서석동에 위치해 있으며 총 7개의 빈소를 갖추고 있어 다양한 규모의 장례에 맞춰 준비할 수 있습니다. 고인을 모시는 순간부터 장례지도사는 유가족의 곁에서 모든 절차를 안내하며 차분히 진행합니다. 장례의 시작은 안치실에 고인을 모시는 일이며 이후 빈소 배정을 통해 조문객을 맞을 공간을 마련합니다. 이 과정에서 비용에 대한 설명도 함께 이뤄지며 가족들이 예산에 맞춰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립니다.
빈소는 조문객 수에 맞춰 중간 평형으로 선택하셨으며 고인을 정성스럽게 모실 수 있도록 접객실과 함께 준비됩니다. 제단장식은 생화 기준으로 견본 확인 후 주문이 가능하며 장례지도사는 조문객 규모를 미리 예상하고 준비하도록 안내하며 상식이나 성복상, 발인상 같은 제사 비용 역시 선택 가능하도록 설명합니다. 현장에 도우미 팀장님을 배정하여 조문객 맞이를 도와드리며 접객실 정리 및 음식 상황을 체크하며 자부님과 이야기를 나누셨습니다.
분향실
평형
하루 사용료(원)
1분향소
85
1,800,000
2분향소
70
1,300,000
3분향소
50
1,000,000
5, 6분향소
45
900,000
7, 8분향소
25
500,000
종류
설명
비고
헌화용
고인에게 한송이씩 바치는 꽃
국화
영정사진꽃
사진액자를 꽃으로 장식하는 것
대, 중
스탠드식 조화
제단 좌우를 세워 놓은 꽃
1단, 2단, 꽃바구니
제단 장식용
제단을 꽃으로 씌워 장식하는 것
7종류 장식
추모 꽃 포장
꽃다발
20~30송이 포장
관 장식용
관위를 꽃으로 덮는 장식
불교, 기독교 구분
장의차 장식용
장의차를 꽃으로 장식
국화(생화) : 버스, 캐딜락
구분
품목
식사류
흰밥, 육개장, 된장국, 북어국, 사골우거지국 등
고기류
홍어회, 돼지삼겹(수육), 홍어무침 등
반찬류
모듬전, 배추김치, 도라지오이초무침 멸치고추조림, 고사리나물, 콩나물 참나물, 북어조림, 새우젓, 초고추장 등
떡류
인절미, 꿀떡, 기정떡, 절편, 경단, 약식 등
과일류
계절과일
제수음식
상식, 성복제, 발인제, 노제, 평토제
입관 절차는 고인의 마지막을 준비하는 중요한 시간입니다. 조선대학교병원장례식장에서는 입관 과정을 통해 고인에게 존경과 애도의 마음을 전하며 가족과 친지들이 함께 모여 추모의 시간을 갖습니다. 보통 장례 2일차에는 입관이 진행됩니다. 유가족들이 함께 모여 고인의 마지막 모습을 지켜보며 인사를 나눈 뒤 관에 모시는 절차입니다. 입관 후에는 빈소에서 추모와 조문이 이어지며 장례지도사는 이 과정에서 유가족이 절차에 흔들림 없이 집중할 수 있도록 시간 배분과 동선을 관리합니다. 특히 입관 후 추모 분위기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차분하게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발인을 하루 앞둔 시점은 고인을 떠나보내기 전 마지막으로 가족과 친구들이 모여 애도의 시간을 가지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이 시기에는 고인의 삶을 기리기 위해 조문객의 방문이 많아질 수 있어 빈소의 관리와 조문객 응대가 더욱 중요해집니다. 3일장의 마지막 날 조문은 오전까지 이어지며 점차 마무리됩니다. 발인을 앞두고 유가족들은 발인상을 준비할 수 있으며 발인 준비 시간은 오전에 주로 이뤄지며 마지막으로 고인을 배웅하는 자리가 됩니다. 장례지도사는 발인 시간에 맞춰 차량 준비 장지 이동 경로, 추모공원 납골당 예약 사항까지 점검합니다.
발인은 가족과 지인들이 함께 모여 고인을 마지막으로 떠나보내는 절차입니다. 운구차량이 준비되면 조문객과 함께 장례식장을 나서며 고인의 생애를 되새기는 시간이 됩니다. 조선대학교병원장례식장에서 발인 후 가장 많이 이용되는 화장장은 광주영락공원으로 미리 예약을 진행하면 절차가 원활히 이어지며 장례지도사가 안내하여 혼선이 없도록 도와드립니다.
조선대학교병원장례식장 3일장 비용은 조문객 인원과 선택 항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합니다. 빈소 사용료, 안치실, 입관실 제단장식, 음식과 제사 비용으로 구성되며 해당 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항목
금액
분향실(1일)
안치실(1일)
120,000
입관실(1회)
400,000
제단장식(생화)
견본을 보신 후 주문
음식+매점(1인당)
약 25,000~30,000
제사(선택)
상식 / 성복상 / 발인상
발인 절차 시간은 유가족과 상의 후 조율되며 장지 예약까지 함께 준비해야 원활한 진행이 가능합니다. 장례지도사는 모든 순간 유가족과 함께하며 절차를 정리해주고, 고인을 존엄하게 모시는 데 집중합니다.
3일장은 첫날 빈소를 마련하고 조문객을 맞이하며 시작됩니다. 둘째 날에는 입관과 추모의 시간을 갖고, 마지막 날에는 발인과 장지로 이동이 이루어집니다.
빈소는 고인의 성격이나 가족의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조선대학교병원장례식장에서 다양한 크기와 구성을 가진 빈소 옵션을 제공합니다.
입관 절차는 장례식 첫날이나 둘째 날에 진행되며, 고인을 존경하는 마음으로 가족과 친지들이 함께 모여 추모의 시간을 갖습니다.
발인은 장례식의 마지막 날 아침에 진행되며, 고인의 가족과 가까운 친지들이 참석하여 작별 인사를 전하는 중요한 순간입니다.